본문 바로가기

R

[R] 반복문, 기타제어문, 사용자 정의 함수, 데이터 입출력

728x90

 

 

 

 

 

 

 

《제어문》

        코드의 실행을 제어한다

        1. 조건문

        2. 반복문

        3. 기타제어문

 

 

《반복문》

        코드를 반복 실행한다

        1. for문

        2. while문

        3. repeat문

 

 

《for문》

        for(변수 in 반복가능대상) {

                 반복 실행할 코드

        }

 

        * 반복가능대상의 데이터의 개수가 반복횟수다

 

        for(item in 1:5) {

                 print("안녕")

        }

 

        item <- 1

                 print("안녕")

        item <- 2

                 print("안녕")

        ...

        item <- 5

                 print("안녕")

 

 

《while문》

        조건식이 참인 동안 코드를 반복실행한다 -> 코드의 반복 횟수를 정확하게 알 수 없을 때 주로 사용한다

 

        while(조건식) {

                 반복 실행할 코드

        }

 

 

《repeat문》

        코드를 무한 반복 실행한다

        break를 통해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반복을 종료한다

 

        repeat {

                 반복 실행할 코드

                 if(조건식) { break }

        }

 

 

《break와 next》

        반복문 안에서 사용한다

        break : 반복을 종료한다     next : 다음 반복으로 넘어간다

 

 

《사용자 정의 함수》

        R에 내장되어 있는 함수가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표현하기 위해 직접 만든 함수

 

        함수명 <- function(매개변수1, 매개변수2...) {

                 실행할 코드

                 ...

                 return(리턴값)

        }

 

        * 매개변수 : 외부에서 인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변수

        * 실행할 코드 : 해당 함수를 호출할 때 실행할 코드

        * 인자(인수) : 외부에서 함수로 전달하는 값

 

        * help(함수명) : help 탭에서 함수의 설명 확인하기

        * args(함수명) : 함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매개변수 확인하기

        * examples(함수명) : 함수 사용 예시 코드 확인하기

 

 

《매개변수와 리턴값》

        매개변수가 있다면 외부에서 함수로 값을 전달 할 수 있다

        매개변수가 없다면 외부에서 함수로 값을 전달 할 수 없다

 

        함수를 호출(사용)할 때는 인수와 배개변수의 순서, 개수가 동일해야 한다

        -> 매개변수명을 직접 명시하면 순서와 상관없이 사용 가능

 

        리턴값은 1개만 가능하며, 여러개의 값을 리턴하고 싶다면 자료구조에 담아 리턴(반환)한다

        R은 직접 return()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 마지막에 사용한 변수의 값을 자동 리턴한다

 

 

《디폴트 매개변수》

        매개변수에 값을 미리 지정해서 사용한다

        만약 인수가 전달되면 전달한 값으로, 전달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사용한다

 

        함수명 <- function(매개변수명 = 기본값) {

                 실행할 코드

        }

 

 

《가변 매개 인자(인수)》

        매개변수의 개수를 지정하지 않고, 전달하는 인수의 개수만큼 사용할 수 있다

 

        함수명 <- function(...) {

                 실행할 코드

                 ...

        }

 

 

《데이터(파일)의 임출력(IO)》

        입력(input) : 외부 데이터를 R로 가져온다(읽기)

        출력(output) : R에서 외부로 데이터를 내보낸다(쓰기)

 

        R프로그램                  외부

                     ---------------> (출력)

                     <--------------- (입력)

 

 

《인코딩(encoding)과 디코딩(decoding)》

        인코딩 : 문자 -> 이진 숫자로 변환(암호화)

        디코딩 : 이진 숫자 -> 문자로 변환(복호화)

 

        인코딩 방식 : 문자 -> 이진 숫자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방식

        디코딩 방식 : 이진 숫자 -> 문자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방식

 

        아스키코드, UTF-8, EUC-KR(cp949, ms949) 등...

        파일을 생성할 때 사용한 규칙과 파일을 읽을 때 사용하는 규칙이 일치해야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읽을 수 있다

 

 

 

 

 

 

 

 

 

 

        

 

 

 

 

 

 

 

 

728x90